통합 검색
통합 검색
- 열처리
보석에 열을 가하여 색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BC 2000년경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도에서는 흐린 회색이나, 황색, 갈색 칼세도니를 가열하면 오렌지색 카닐리언으로 바뀌는 것을 발견했고, 1900년대에는 루비나 사파이어를 열처리하면 보기 싫은 점들이 제거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현재 열처리는 많은 보석에 사용되는데, 앰버, 아쿠아마린, 루비, 사파이어, 상아, 황수정, 칼세도니, 토파즈, 투어멀린, 탄자나이트, 지르콘 등은 거의 열처리를 하여 불필요한 색을 제거하고 색상을 개선하게 된다.
사파이어(Sapphire)
스리랑카산의 담청색 및 회색감의 유백색의 사파이어는 가열처리에 의해서 색을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스리랑카산의 적색감의 오렌지색, 오렌지색 및 오렌지-황색의 사파이어는 가열처리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루비(Ruby)
태국산의 암적색 루비는 가열처리에 의해서 색을 밝게 할 수가 있다. 또 스리랑카산 자색감의 루비는 가열처리에 의해서 자색을 제거하여 이상적인 루비의 색으로 개량할 수도 있다.
토파즈 (Topaz)
크롬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갈색 또는 황색 토파즈를 가열하면 핑크색으로 변한다. 또한 갈색을 200~400℃로 가열을 하면 무색으로 변한다. 천연 또는 방사선처리로 만든 청색 토파즈를 450℃ 에서 가열하면 무색이 된다. 아주 짙은 청색 토파즈를 230℃에서 단시간 가열하면 보기 좋은 색이 된다. 자색감의 핑크색 및 적색의 토파즈는 자연적으로도 나타나지만, 많은 자색감의 핑크색의 토파즈는 황색감의 토파즈를 가열 처리한 것이다.
지르콘(Zircon)
무색 및 청색의 지르콘은 자연적으로도 산출되지만, 대부분의 무색 및 청색의 지르콘은 가열처리에 의해서 생긴 것이다.
베릴(Beryl)
청색의 베릴이 자연적으로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아쿠아마린은 가열처리에 의해 생긴 색이다. 모거나이트의 아름다운 핑크색은 오렌지색감의 핑크색의 베릴을 가열처리해도 얻을 수 있다.
골든 쿼츠
천연 황수정으로 취급되고 있는 황색, 갈색, 적갈색, 오렌지색의 쿼츠는 거의 자수정의 열처리에 의해서 발생한 색이다. 이러한 열처리 자수정은 천연 황수정과 성질, 가격이 유사하나, 천연 황수정은 실제로는 희소하기 때문에 열처리 자수정이 천연산 황수정의 대용석으로 주류를 이루고 있어 골든 쿼츠라는 명칭이 적용되고 있다.
- 오일처리
- 접합 처리석(Assembled stone)
접합석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주어진 원석으로 크고 색깔도 좋게 보이는 보석을 제작하기 위해서였다. 초기에 천연보석끼리 접합하였으나, 합성 보석물질과 유리 제품이 개발된 후부터 인공물질과도 결합시키게 되었다. 2개의 보석재를 사용하여 상부와 하부를 무색의 접착제로 접합시킨 경우를 이중접합(Doublet)이라 하고 상부는 천연, 하부에는 인조석을 사용하며 투명석의 접합에 주로 이용한다. 3개의 보석재를 무색 접착제로 접합시키거나 두 개의 보석재를 유색접착제로 접합시킨 것을 삼중접합(Triplet)이라 하며, 대부분 중앙 부위에 천연석이 사용된다.
감별방법
굴절율이 높은 용액(메틸렌아이오다이드 용액)에 침액시켜 관찰할 경우 접합 경계선이 관찰되며 상부와 하부의 색상 차이, 투명도, 광택의 차이 등을 검사한다.
이외에도 굴절의 상, 하부의 굴절율을 측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보석재의 사용을 알 수 있으며, 자외선에 의한 형광 반응도 아주 유용하다. 상, 하부의 형광 반응이 전혀 다른 색감이나 서로 다른 강도로 나타날 경우 접합석의 증거가 된다.
가닛과 유리 더블릿
1845년에 소개되었으며 최초의 접합석이다. 유리를 베이스로 하고 그 위에 가닛(주로 알만다이트 가닛)을 붙여 만든다. 주로 색은 퍼빌리언의 유리 색에 의해 좌우되며, 가닛의 색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감별은 페이스다운 상태로 관찰할 경우 캡의 가장자리 주위의 Red Ring 현상이 보여진다.
오팔 더블릿
오팔 더블릿은 자주 접할 수 있는 것으로 오팔의 얇은부분을 흑색 칼세도니나 유리, 낮은 질의 오팔 Potch 등으로 접착시킨다. 이것은 오팔이 매우 귀하고 연마할 때 잘 부서지므로 얇은 것은 자체로서 사용이 힘들기 때문에 접합을 하게 된다.
오팔 트리플릿
오팔은 예외적인 것을 제외하고 원석에서 유색 현상을 보이는 곳은 아주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두께를 가진 곳이 적기 때문에, 대부분의 오팔은 작은 박편으로서 연마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오팔의 작은 박편은 소위 모자이크상의 소재로 사용되는데, 이 경우 면이 큰박편은 상부를 반구형으로 연마한 백수정을 붙이고, 하부는 모암이나 오닉스를 붙인 트리플릿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트리플릿은 얇은 오팔의 박편에 강도를 주는 처리로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트리플릿에서는 중심 부분에 사용되고 있는 오팔이 합성 오팔인 경우도 나타난다.
제이다이트 트리플릿
“홀로 더블릿"의 타입으로 백색 또는 담녹색의 제이다이트의 내부를 파내고, 그 속에 점성이 있는 녹색의 젤리상 물질을 충전시켜 양질의 녹색비취로 보이게 한다. 또는 3개 부분으로 연마한 후에 그 빈틈에 녹색의 젤리상 물질을 넣어서 접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제이다이트의 홀로 더블릿과 트리플릿은 내부에 충전시킨 젤리상 물질이 스며 나와서 접합 층 주위에 색소가 보이므로 감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접합석은 대개의 경우 접합부위를 숨기기 위해 감춰져 있으므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접합석의 감별
가장 유효하고 간편한 감별테스트는 침액법으로 보석을 굴절률이 높은 액체에 침액시키면 패싯 표면의 반사가 감소하므로 보석의 내부와 접합부 등을 확실하게 관찰할 수 있게된다. 확대 테스트에서도 측면 관찰시 접합경계선과 접합부에 다수의 기포나 접합제의 잔재를 볼 수 있고, 정면 관찰시에도 접합막이 명확하다. 자외선 반응도 간편하고 유효한 방법으로, 상부와 하부의 보석이 서로 다른 것이면 자외선 형광은 다르게 나타나며, 접착제의 자외선에 대한 형광도 상하부의 보석과 다른 성질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또 하부에 유리가 사용된 보석에서는 단파 자외선에서 유리는 거의 독특한 초키(chalky) 형광반응을 나타낸다. 한편 상부에 사용되어 있는 보석의 굴절율의 측정도 종종 감별에 도움되는 일도 있고, 보 석이 나석이면 비중 측정도 유효할 것이다.
- 확산 처리 (Diffusion treatment)
- 방사선 처리